본문 바로가기
주와함께/하루 한 장 성경읽기

출애굽기 29장 묵상_우리 삶의 목적, 거룩

by jujumomy 2022. 9. 15.
728x90
반응형

 

태초에 하나님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만드셨습니다. 

우리는 다른 동물들은 물론 광활하며 신비로운 우주를 포함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유일한 존재입니다. 

첫 사람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을 참 많이 닮았었나 봅니다. 

그러나 그들의 죄로 우리는 하나님을 닮은 점을 잃어버렸습니다. 

잃어버린 가장 큰 것. 바로 거룩함입니다. 

 

거룩하다는 것은 사전적으로 성스럽고 위대하다고 나와있습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거룩은 죄없이 흠없는 상태, 고결하고 영화로운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한 마디로 정의 할 수 없는 것은 거룩함은 하나님의 형상과 상통하나 하나님의 형상을 본 자가 없기에 거룩함을 정의하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지금 계속해서 성소와 제사장, 제사에 대해 율법을 묵상하고 있습니다. 

제사의 목적은 거룩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죄많은 사람이 하나님을 만나고자 할 때는 반드시 거룩해야 합니다. 

완전한 거룩은 어렵기에 세마포와 에봇, 흉패와 띠까지 두르며 죄악된 속성을 가리고 거룩한 옷을 입어 하나님 앞에 나아갑니다. 

 

놀라운 사실은 안식일 뿐 아니라 매일 아침에 어린양 한마리, 저녁에 어린 양 한마리를 화제로 하나님께 드리라고 말씀하십니다. 또, 매일 수송아지 하나로 속죄하기 위하여 속죄제를 드리라고 하십니다. 

수송아지는 특히 덩치가 커서 아침에 어린 양 한마리를 드리고 나면 오후엔 내내 수송아지를 드리는 데 애를 써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하나님께 어린 양 두 마리와 수송아지 하나로 거룩함을 입기 위한 노력을 하라고 하십니다. 

 

예수님께서 모든 죄를 짊어지고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심에 우리는 죄에 대해 더이상 정죄함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거룩해야 할 우리가 거룩하지 못한 이유는 죄가 이땅에 들어올 때부터 고착화 된 죄의 본성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는 왕 같은 제사장입니다. 예수님의 보혈의 피로 인해 선택받은 민족, 선택받은 족속만이 아니라 그 누구에게도 하나님의 제사장입니다. 

제사장이 성막을 거룩하게 하려고 하루 종일 제사를 드리고 맡겨진 성막, 성전을 거룩하게 하는데 하루를 사용하였다면 우리는 왕 같은 제사장으로서 하루 종일 하나님을 기억하고 묵상하며 내 삶의 터전을 성결하고 걸구하게 하는데 애를 써야 합니다. 

 

명절 이후 너무나 게을러져서  자꾸 좀 더 눕자, 좀 더 졸자 하게 됩니다.

나의 삶의 터전인 우리 집을 거룩하게 하려고 노력하기는 커녕 휴대폰과 함께 하나님을 잊고 살게 됩니다. 

왕 같은 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을 기억하고 묵상하며 나의 삶을 드리는 하루이길 소망합니다.

세심하게 나의 삶을 만지시는 하나님께 내 작은 것이라도 드리는 하루이길 기도합니다. 

 

LIST